본문 바로가기

License21

106-110 7장_ 애플리케이션 테스트 관리 sec 106) 애플리케이션 테스트(B) * 애플리케이션 테스트 - 애플리케이션에 잠재되어 있는 결함을 찾아내는 일련의 행위 또는 절차, 개발된 소프트웨어가 고객의 요구사항을 만족시키는지 확인(Validation)하고 소프트웨어가 기능을 정확히 수행하는지 검증(Verification)함. 20.5 필기 20.6 >> 애플리케이션 테스트의 기본원리 - 완벽한 테스트 불가능 - 소프트웨어의 잠재적인 결함을 줄일 순 있음, 없다고 증명은 X 필기 20.6 - 파레토 법칙(Pareto Principle) - 애플리케이션의 20%에 해당하는 코드에서 전체 결함의 80%가 발견된다는 법칙 20.5 - 살충제 패러독스(Pesticide Paradox) - 동일한 테스트 케이스로 동일한.. 2022. 3. 18.
61-63 sec 61) 트리(Tree) (A) * 트리 - 트리는 정점(Node, 노드)과 선분(Branch, 가지)을 이용하여 사이클을 이루지 않도록 구성한 그래프(Graph)의 특수한 형태 - 트리는 하나의 기억 공간을 노드(Node)라고 하며, 노드와 노드를 연결하는 선을 링크(Link)라고 함. 필기 20.8, 20.6 * 트리 관련용어 p250 참고 - 노드(Node): 트리의 기본 요소로서 자료 항목과 다른 항목에 대한 가지(Branch)를 합친 것 - 근 노드(Root Node): 트리의 맨 위에 있는 노드 - 디그리(Degree, 차수): 각 노드에서 뻗어나온 가지의 수 - 단말 노드(Terminal Node) = 잎 노드(Leaf Node): 자식이 하나도 없는 노드, 즉 Degree가 0인 노드.. 2022. 3. 18.
51-60 sec 51) 뷰/ 클러스터 (A) 필기 20.9, 20.6 * 뷰(View) - 사용자에게 접근이 허용된 자료만을 제한적으로 보여주기 위해 하나 이상의 기본 테이블로부터 유도된, 이름을 가지는 가상 테이블, 저장장치 내에 물리적으로 존재하지 않지만, 사용자에게는 있는 것처럼 간주, 뷰를 통해서만 데이터에 접근하게 하면 뷰에 나타나지 않는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호하는 효율적인 기법으로 사용할 수 있다. 뷰가 정의된 기본 테이블이나 뷰를 삭제하면 그 테이블이나 뷰를 기초로 정의된 다른 뷰도 자동으로 삭제, 뷰를 정의할 땐, CREATE문, 제거할 땐 DROP문을 사용. 필기 20.8 * 뷰(View)의 장,단점 - 장점 - 논리적 데이터 독립성을 제공, 동일 데이터에 대해 동시에 여러 사용자의 상이한 응용이.. 2022. 3. 18.
41-50 sec 41)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제약조건 - Key(A) * 키(key) - 데이터베이스에서 조건에 만족하는 튜플을 찾거나 순서대로 정렬할 때 기준이 되는 속성 필기 20.6 * 후보키(Candidate Key) - 릴레이션을 구성하는 속성들 중에서 튜플을 유일하게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속성들의 부분집합, 기본키로 사용할 수 있는 속성, 유일성(Unique), 최소성(Minimality)를 모두 만족 필기 20.6 - 유일성(Unique) - 하나의 키 값으로 하나의 튜플만을 유일하게 식별 필기 20.6 - 최소성(Minimality) - 키를 구성하는 속성 하나를 제거하면 유일하게 식별할 수 없도록 꼭 필요한 최소의 속성으로 구성되어야 함. * 기본키(Primary Key) - 후보키 중에서 특별.. 2022. 3. 17.
36-40 sec 36) 데이터 모델의 개념(B) * 데이터 모델 - 현실 세계의 정보들을 컴퓨터에 표현하기 위해 단순화, 추상화하여 체계적으로 표현한 개념적 모형, 데이터, 데이터의 관계, 데이터의 의미 및 일관성, 제약 조건등을 기술하기 위한 개념적 도구들로 구성되어 있다. DB 설계과정에서 데이터의 구조(Schema)를 논리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지능적 도구로 사용. - 데이터 모델 구성 요소: 개체, 속성, 관계 - 데이터 모델 종류: 개념적 데이터 모델, 논리적 데이터 모델, 물리적 데이터 모델 - 데이터 모델에 표시할 요소: 구조, 연산, 제약조건 *개념적 데이터 모델 - 현실 세계에 대한 인간의 이해를 돕기위해 현실 세계에 대한 인식을 추상적 개념으로 표현하는 과정. 속성들로 기술된 개체 타입과 이 개체.. 2022. 3. 15.